명령어를 통해서 OS를 조작하는것을 터미널이라고한다.
터미널 → 키보드만 사용해서 OS를 조작한다.
■ 1. GUI (Graphical User Interface)
- 장점:
- 사용자 친화적: 그래픽과 아이콘을 사용하여 직관적이며,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.
- 다중작업 용이: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고 전환하는 데 적합합니다.
- 시각적 피드백: 실시간으로 작업의 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학습 곡선이 완만: 마우스 클릭이나 드래그 앤 드롭 같은 시각적인 인터페이스로 인해 학습이 쉽습니다.
- 단점:
- 자원 소모: 그래픽을 처리하는 데 많은 시스템 자원이 필요합니다.
- 속도 제한: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로 인해 작업 속도가 CLI에 비해 느릴 수 있습니다.
- 제한된 자동화: 반복 작업이나 대규모 자동화에 적합하지 않습니다.
■ 2. CLI (Command Line Interface)
- 장점:
- 효율적: 고급 사용자는 명령어를 입력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- 재사용 가능: 명령어는 스크립트로 저장하여 언제든지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자동화에 용이합니다.
- 자원 절약: GUI에 비해 시스템 자원을 적게 사용합니다.
- 유연성: 복잡한 작업이나 시스템 관리에 적합하며, 다양한 명령어 조합을 통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- 단점:
- 학습 곡선: 명령어와 사용법을 익히는 데 시간이 필요합니다.
- 시각적 피드백 부족: 실수나 오류가 발생할 경우, 즉각적인 시각적 피드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.
- 비직관적: 초보자나 비전문가에게는 접근성이 떨어지며, 잘못된 명령어로 인해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■ 3. CLI 및 Shell Script의 정리
- CLI는 명령어를 통해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는 효율적인 인터페이스입니다.
- 사용자가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여 작업을 수행하므로,
- 반복적인 작업이나 복잡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데 매우 유리합니다.
- 이러한 자동화는 Shell Script를 통해 가능하며,
- Shell Script는 여러 명령어를 파일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마다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.
- 이를 통해 복잡한 작업도 손쉽게 자동화할 수 있으며,
- 작업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
■ 4. 파일 시스템 명령어
■ 1.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pwd(print working directory)
- pwd
■ 2. 디렉터리를 만드는 mkdir(make directory)
- 디렉터리 한개 생성: mkdir [생성할 디렉터리명]
- 디렉터리 여러 개 생성 : mkdir alpha beta gamma delta
- alpha
- beta
- gamma
- delta 4개가 생성된다.
■ 3. 디렉터리의 파일 리스트를 조회하는 ls(list)
- 현재 위치 기준 디렉터리 조회 : ls
- 특정 디렉터리 조회 : ls [디렉터리 위치]
- 숨김 파일 및 파일 사이즈도 함께 조회 : ls-alh ~/[디렉토리명]
- 디렉토리 경로 조회 : ls ~/[디렉토리명]
■ 4. 디렉터리를 이동하는 cd(change directory)
- 디렉터리 이동 : cd [이동할 디렉터리명]
- 홈 디렉터리 이동 : cd ~
- 상위 디렉터리 이동 : cd ..[디렉터리명]
■ 5. 디렉터리의 구조를 확인하는 tree
- tree
■ 6. 디렉터리/파일을 복사하는 cp
- 정리중..
■ 6. 디렉터리/파일을 이동하는 mv
- 정리중..
■ 6. 디렉터리/파일을 삭제하는 rm
- 정리중..
■ 6. 화면 정리하는 clear
- clear
■ 7. 파일 생성 touch
- 현재 디렉토리 위치에 파일 생성 : touch [파일명]
- 현재 디렉토리에 숨김 파일 생성 : touch .[파일명]

- ls 로 리스트를 조회하면 숨김 파일 .alphafile2는 보이지 않는다.
■ 사진 속 각 필드의 의미
- 파일 유형 및 권한 (
drwxr-xr-x
,-rw-r--r--
) d
또는: 파일 유형 (
d
는 디렉토리,는 일반 파일).
- 뒤의
rwxr-xr-x
또는rw-r--r--
: 파일 권한 (읽기, 쓰기, 실행 권한). - r : 읽기 권한(Read)
- w : 쓰기 권한(Write)
- x : 실행 권한(Execute)
- - : 해당 권한이 없음(None)
- ex) : -rw-r--r— : 해당 파일에 대해 소유자가 읽고 쓸 수 있으며, 그룹과 다른 사용자들은 읽기만 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.
- 숫자 (1)
- 하드 링크 수: 이 숫자는 해당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연결된 하드 링크의 수를 나타냅니다.
- 디렉토리의 경우: 디렉토리 자체에 대한 링크 + 해당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들이 부모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링크.
- 파일의 경우: 해당 파일로 연결된 하드 링크의 수를 나타냅니다. 일반적으로
1
이지만, 여러 위치에서 동일한 파일로 연결된 경우 이 숫자가 증가합니다.
- 소유자 (GGG)
-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입니다.
GGG
는 이 파일의 소유자 이름(사용자 ID)을 나타냅니다.
- 그룹 (197121)
- 이 필드는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속한 그룹을 나타냅니다.
197121
은 그룹 ID를 나타내며, 특정 사용자 그룹을 가리킵니다.
- 파일 크기 (0)
- 파일의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냅니다.
- 디렉토리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작은 크기(보통 4096 바이트 정도) 또는 0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.
- 파일 크기가
0
인 것은 해당 파일이 빈 파일임을 의미합니다.
- 수정된 날짜 및 시간 (
Aug 21 19:30
) -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마지막으로 수정된 날짜와 시간을 나타냅니다.
Aug 21 19:30
은 해당 파일이 8월 21일 오후 7시 30분에 수정되었음을 의미합니다.
- 파일명 및 디렉토리명 (
./
,../
,.alphafile2
,alphafile1
) ./
: 현재 디렉토리를 나타냅니다.../
: 상위 디렉토리를 나타냅니다..alphafile2
,alphafile1
: 실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이름입니다.
■ 5. 절대경로 (Absolute Path) 와 상대경로 (Relative Path)
■ 1. 절대경로 (Absolute Path)
절대경로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전체 경로를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해서 지정하는 방식입니다. 즉, 경로가 시스템의 루트 디렉토리(
/
또는 C:\
등)에서부터 시작하여 파일이나 디렉토리까지의 모든 경로를 포함합니다. 절대경로는 시스템 내에서 항상 동일한 위치를 가리키므로, 경로를 명확하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.예시:
- 리눅스/유닉스:
/home/user/documents/report.txt
- 윈도우:
C:\Users\User\Documents\report.txt
■ 2. 상대경로 (Relative Path)
상대경로는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위치를 지정하는 방식입니다. 상대경로는 현재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, 경로를 좀 더 간단하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. 상대경로는 일반적으로
.
(현재 디렉토리) 또는 ..
(상위 디렉토리) 같은 특별한 기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예시:
./documents/report.txt
(현재 디렉토리 안에 있는documents
디렉토리의report.txt
파일)
../images/photo.jpg
(현재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에 있는images
디렉토리의photo.jpg
파일)
■ 3. 주요 차이점
- 절대경로는 항상 파일의 고유한 위치를 가리키며, 시스템의 다른 위치에서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파일을 가리킵니다.
- 상대경로는 현재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, 다른 위치에서 사용하면 다른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가리킬 수 있습니다.

■ 5. 정리중..
■ 1. 정리중..
Share article